로맨스 소설을 생각한다
웹소의 미덕
이 글은 웹소설보다는 로맨스물에 대한 것이다. 나는 네이버 연재로 웹소설을 딱 하나 읽어봤는데(이름도 기억 안 남), 무료로 공개되는 것이었다. 수요일 오후 2시에서 4시 사이에 새 글이 올라왔는데, 아이들 수영장에 집어넣어 놓고 수영장 앞쪽 의자에 앉아, 쉬지 않고 ‘새로고침’을 누르다가 ‘New’가 뜨면 반갑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야한 장면도, 충격적인 장면도 별로 없어서 좀 싱거운 느낌이기는 했는데, 기다리고 읽는 시간은 마냥 즐거웠다. 그 후로는 웹소설을 읽지 않았던 듯하다.
로맨스물에도 유행이 있는 것 같다.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주 독자층인 여성의 입맛에 맞게 변형되지 않나 싶다. 이를테면, 2000년 작품이고 최근에 드라마로 만들어졌던 ‘브리저튼 시리즈’ 같은 경우 팽팽한 긴장감이 돌던 남녀 주인공의 상황이 단번에 정리되는 순간이 있는데 그게 바로 ‘첫날 밤’이다. 성 경험이 다분한 남자 주인공이 성 경험이 전혀 없는 여자 주인공을 ‘정복하는’ 과정이 적나라하게 그려진다. 남주는 섹스를 주도하고, 곤혹스럽고 당황해하던 여자 주인공은 섹스의 즐거움을 ‘깨달아가는’ 순간이 이어진다. ‘가르쳐주는’ 남주와 ‘배우는’ 여주의 대조가 극명하다.
반면 내가 느끼기에 최근의 로맨스물은 ‘남주의 신화화’에 목적이 있는 듯하다. 이렇게까지 완벽한 남자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남주는 여성들이 ‘기대하는’ 완벽한 남성의 모습이다. 일찍이 하지원, 현빈 주연의 <시크릿 가든>을 보면서 내가 현빈이 아니라 작가 김은숙에게 빠졌던 이유와 같다. 말하는 사람은 현빈이지만 그의 말을 만들어주는 사람은 김은숙이고, 김은숙이야말로 내가 듣기 원하는 말을 '해주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로맨스물에 등장하는 남주들의 특징을 비교적 최근에 읽었던 『The Love Hypothesis』의 Adam, 『The Hating Game』의 Joshua, 『People we meet on vacation』의 Alex, 『Beach Read』의 Gus, 『Book Lovers』의 Charlie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 그에게서는 좋은 냄새가 난다.
인간이라면 모두 ‘냄새’의 올무에서 벗어날 수 없다. 씻지 않으면 (나쁜) 냄새가 나고 씻으면 좋은 냄새가 난다. 하지만, 로맨스물 속의 남주에게서는 항상 좋은 냄새가 난다. 좋은 냄새’만’ 난다.
2. 그는 운동광이다.
아침에는 달리고(아담), 저녁에는 헬스장(조슈아)에 간다. 근육이 발달해 있고, 힘이 어마어마하다. 맨손으로 트럭 민다(아담). 세상에 이럴 수가.
3. 그는 요리에도 일가견이 있다.
유기농 재료를 냉장고에 상시 준비해두는 건 기본이요, 야채 썰기에도 능하다.(조슈아) 뚝딱! 오물렛을 만들어내는데, 게다가 맛도 좋다. 이런 남자를 누가 마다하리오.
4. 그는 예전부터 당신을 좋아했다.
사랑에 빠진 후, 그걸 알게 된 이후에 그가 고백한다. 사실 난 너를 처음 봤던 그 순간부터 좋아했어. (조슈아) 나는 3년 전부터 너를 좋아했어. (아담) 나는 10년 전부터, 아니 10년 동안 계속 너를 사랑해 왔어(알렉스). 이 정도면 거의 계 탔다고 보면 되겠다. 최근 표현으로 하자면, 로또 1등. (참고로 저번 주 로또 1등 당첨자가 50명이어서, 1등 실수령액이 3억 2천만원 정도였다고 한다)
5. 그는 committed long-term relationship을 원한다.
난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남성은 원나잇 스탠드의 만족도가 여성보다 높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진화 심리학은 수천 년 동안의 진화과정에서 양육의 책임을 우선적으로 맡게 되는 여성이 파트너 선정에 까다로운 성 전략을 선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가부장제의 창조』에서 남녀 간의 이중적 성 관념이 여성 억압에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읽어보았던 1인으로서, ‘바람둥이’의 실재를 옹호하는 과학의 변명으로밖에 들리지 않는다. 하지만 통념은 그렇다. 남성은 성적 매력에 근거한 일회적 관계에 더 큰 관심이 있고, 여성은 자신과 태어날 아이를 돌봐줄 수 있는 충실한 관계에 더 큰 관심이 있다고 말이다.
로맨스물에서 여주는 ‘하룻밤’을 외친다. 이번 한 번만, 하룻밤만. 딱 오늘밤만. 남주는 여주의 제안을 외면하고, 섹스 기회를 거절하며(조슈아), 크게 화를 낸다(알렉스, 거스). 남주가 외친다. 내가 원하는 건 너와의 즐거운 하룻밤이 아니야. 나는 너와의 committed long-term relationship을 원해. 과학적 설명과 사회적 통념의 반대 방향에 서 있는 남주. 그렇게 말하는 당신은 누구인가. 그는 독자이며 작가다. 그런 말을 ‘듣고 싶어 하는’ 여성 독자와, 독자를 겨냥해 그 말을 ‘해 주는’ 작가(대부분 여성)다. 여성이 듣고 싶어 하는 말을 여성이 해주고 있는 모습. 여성이 원하는 모습의 남성을, 여성이 만들어가는 장르. 그게 어쩌면 로맨스일지도 모르겠다.
향이 그윽한 따뜻한 커피에 쿠키를 먹으며 이 글을 쓰고 싶었지만, 마음이 급해서 그러지 못했다. 어젯밤에 끓여 둔 보리차에 구운 감자 Slim을 먹으며 썼다. 독서괭님과 수하님에게 바친다.